대가리 23 순천만 습지 (구, 순천만자연생태공원) 23 순천만 습지.pdf 대가리 23 순천만 습지 (구, 순천만자연생태공원) 순천은 세계 5대 연안 습지이자 생태계의 보물이라 할 수 있는 순천만을 비롯하여 많은 자연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2013순천만 국제 정원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생태브랜드를 세계에 널리 알린 후 그 터..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1.25
대가리 22 선운사 22 선운사.pdf 대가리 22 선운사 도솔산 북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선운사는 김제의 금산사(金山寺)와 함께 전라북도의 2대 본사로서 오랜 역사와 빼어난 자연경관, 소중한 불교문화재들을 지니고 있어 사시사철 참배와 관광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특히 9월 중순 이후에 상사화가 ..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1.25
대가리 21 곰소염전 21곰소염전.pdf 대가리 21 곰소염전 요즈음에는 많은 사람들이 고혈압 때문에 소금 섭취를 줄이려고 난리 법석들이다. 물론 의학적으로는 짜게 먹으면 혈압이 올라 가는 것은 맞는 이론이겠지만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3분의 2(60~70%)가 수분으로 되어 있는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1.04
대가리 20 채석강 (採石江) 20 채석강.pdf 대가리 20 채석강 (採石江) 어디를 가나 항상 해는 서쪽으로 진다. 그래서 일출을 보려면 동쪽을 보고, 일몰을 보려면 서쪽으로 눈길을 돌리게 되는데…. 바다에서 떠오르는 해와 바다로 지는 해가 만들어 내는 장관을 보려고 많은 사람들이 바다를 찾는다. 도심에서 빌딩 뒤..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1.04
대가리 19 새만금 방조대 19 새만금 방조대.pdf 대가리 19 새만금 방조대 아시아 대륙의 끝에 토끼모양으로 붙어 있는 대한민국. 해수의 높이가 올라 가면 면적이 조금 줄어 들고, 해수의 높이가 낮아 지면 면적이 조금 늘어 나는 한정된 땅을 가진 우리 나라.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고 그래서 무척 긴 해안선을 가진 ..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0.20
대가리 18 오륙도 -부산 18 오륙도.pdf 대가리 18 오륙도 -부산 오륙도는 부산만에 있는 섬들로 육지와 가까운 순서대로, 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 이렇게 6개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에는 간조시에는 한 개의 섬으로 보이지만 만조시에는 두개의 섬으로 보이던 방패섬과 솔섬을 합하여 하나..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0.17
대가리 17 해운대 – 부산 17 해운대.pdf 대가리 17 해운대 – 부산 대한민국 최 남단의 항구도시 부산은 오랫동안 서울 특별시에 이어 대한민국 제 2의 도시로 유명한 항구 도시다. 대륙의 끝머리에 붙어 있어 더 이상 나갈 수 없는 땅의 끝에는 항상 출렁이는 바다가 있게 마련이고, 바다가 있으면 모래사장이 있..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0.06
대가리 16 태종대 - 부산 16 태종대.pdf 대가리 16 태종대 - 부산 또 부산 하면 빼 놓을 수 없는 곳이 태종대이다. 신라 제29대 태종 무열왕이 삼국통일의 위업을 이룩한 후, 전국을 순회하던 중 이 곳의 해안 절경에 심취하여, 활을 쏘며 즐겼던 곳이라 하여 태종대라 유래되었단다. 태종대유원지는 해발 250m의 최고봉..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0.03
대가리 15 산복도로(山腹道路) 부산 15 산복도로 부산.pdf 대가리 15 산복도로(山腹道路) 부산 부산은 내가 1.4 후퇴 때 어머니 손을 잡고 피난 와서 한동안 살았던 부산이 아니라 이제는 관광 가이드가 없으면 어디가 어디인지 조차 모르도록 변한 부산이었다.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의 공격을 피해 가장 마지막까지 안전지대로 남아있던 도시였기 때문에 많은 피란민들이 부산으로 모여 들었지만, 산지가 많고 평지가 좁은 부산의 얼마 안 되는 해안가의 평지에는 이미 이 곳 주민들이 살고 있었기에 피난민들이 갈 곳은 산 기슭 밖에는 없었다. 그나마 조금 늦게 합류한 피난민들은 조금 더 높이 올라가야 했고…. 이렇게 용두산과 영도의 봉래산 기슭을 메운 판자촌에 살던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일터로 오르내리느라 만들어 진 수 없이 많은 골목길들. 전쟁 통에..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10.02
대가리 14 국제시장, 자갈치 시장 - 부산 14 부산 국제시장 자갈치시장.pdf 대가리 14 국제시장, 자갈치 시장 - 부산 2014년에 “국제시장”이라는 영화가 한국 전쟁의 애환을 잘 그려 주었기에 무척 인기를 끌었던 적이 있다. 해방 후 중국에서, 일본에서 돌아 온 귀향민들이 생계를 위하여 시작한 노점들이 하나 둘 모이면서 자연스.. 신문 연재-토론토지역/한국, 일본 大街里 2017.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