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 White Balance 3 응용과 사용
지금까지 몇 회에 걸쳐서 빛과 색, 그리고 색을 누구나가 똑 같은 색으로 인식하게 하기 위하여 색상코드를 만들고, 그 색들에 온도를 부여하게 되었다는 점들을 말씀 드렸습니다.
세상의 모든 물체에는 고유의 색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물을 볼 수 있는 것은 해나 달, 혹은 전등처럼 어떤 광원에서 발광하는 빛이 사물에 부딪치면서 반사 되는 빛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광원이 없다면 반사되는 빛도 없고, 그래서 우리는 아무 것도 볼 수가 없는 것이지요.
그 물체에 비취이는 빛에 아무 색이 없다면 우리는 그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상을 볼 수가 있지만 만약에 광원에 어떤 색이 있다면 우리 눈에 보이는 그 물체의 색상은 고유의 색상과 광원의 색상이 혼합 된 다른 색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하얀 종이에 빨간 빛을 쬐이면 그 종이가 빨간 종이처럼 보이지요.
그러나 우리는 그 종이가 하얀 종이 였지만 빨간 빛이 비춰져서 빨갛게 보인다는 것을 알지만 카메라는 그걸 인식하지 못한 채 빨간 종이로 그 영상을 기록하여 줍니다.
이렇게 기록이 되도록 사진을 찍어 야 할 경우도 분명히 있습니다마는 어떤 때에는 이를 무시하고 사물의 원래의 색 대로 표현해야만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가 있을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실내, 형광등의 불빛 아래서 혹은 흐린 날 야외에서 인물 사진을 찍을 때 대개의 경우 얼굴 색이 건강한, 있는 대로의 색이 아니라 변질 된 색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카메라의 맹점을 보완하여 물체의 원 색상에 가까운 색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보정하는 장치가 바로 White Balance 인 것입니다.
카메라마다 White Balance조정하는 기능이 있는데 대개는 AWB(자동), 태양광, 그늘, 구름 낀 날, 백열전등, 형광등( 1,2,3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리고 K라고 켈빈 온도로 조정하는 방법이 나 옵니다. 그리고 어떤 카메라에는 물 속에서 조정하는 방법도 포함 되어 있지요.
조금 더 고급 카메라에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Custom White Balance 도 있습니다.
컴퓨터에서 후보정을 할 수도 있지만 우리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는 변화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처음 찍을 때부터 색감을 고려하여 조정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Ken Rockwell이라는 사진작가가 이를 잘 설명하여 주는 사진을 만들었기에 여기 빌려 왔습니다.
아래 사진은 하얀 색의 자동차입니다. 이 자동차를 여러 가지 광원으로 가상해서 찍은 사진들이 아래 작은 사진들입니다.
자동차를 그늘에 세워 놓고 여러 상황에서 찍은것 처럼 White Balance를 바꾸어 가며 찍은 것입니다. 제일 큰 사진은 Auto로 조절한 사진입니다. 이만큼 요즈음의 카메라가 발전 하였지요.
그늘에 세워 둔 차에 광원은 바꾸지 않은 채 바뀐 광원처럼 카메라를 속였기 때문에 그늘(Shade)로 조절하여 찍은 사진이 가장 자연스럽게 나 왔지만 다른 사진들은 색들이 다 바뀌었지요.
만약에 Tungsten 광원 아래에서 Tungsten 으로 조정하여 놓고 사진을 찍으면 그늘(Shade)에서 찍은 것 같은 원래의 색감의 사진이 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한가지 더 유의하여야 할 점은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노출에 따라서도 색감이 변하게 됩니다. 특히 야외에서 사진을 찍을 때 하늘이 조금 더 파랗게 나오기를 원하시면 약간의 노출 부족이 필요한 것처럼 말입니다.
저녁 노을을 찍을 때 k 온도를 8,000이나 9,000 정도로 올려 주면 노을을 조금 더 예쁘게 담을 수가 있습니다.
K 8,000 으로 찍은 저녁 노을 원본입니다.
K 3,996으로 찍은 원본입니다
위의 사진을 컴퓨터로 K 23,952로 올려서 조절한 사진입니다.
애초에 K 8,000으로 찍은 것보다 못하지요? 후보정의 한계가 나타납니다.
컴퓨터로 K 2,153 으로 내려서 조절한 사진입니다.
색감의 느낌이 무척 달라지지요?
'사진 > 사진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91 무엇을 찍을까? (0) | 2017.12.19 |
---|---|
90 초보자들이 범하기 쉬운 실수들 (0) | 2017.12.10 |
88 White Balance 2 색의 온도 (0) | 2017.12.09 |
87 White Balance 1 - 삼원색 (0) | 2017.12.09 |
86 광선(빛)의 종류와 이용 (0) | 2017.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