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심도를 심도있게 드려다 보자 – 1 피사계 심도
그동안 심도가 깊은 사진을 원하시면 조래개를 조여 주고(수치가 높아짐) 심도가 얕은 사진을 원하시면 조리개를 열어(수치가 적어짐) 주시라고 일방적으로 편하게 말씀을 드려 왔습니다.
오늘은 심도를 조금 더 심도있게 드려다 보며 "왜? 어떻게?" 라는 의문을 풀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기 위하여 몇가지 정의를 알아야 할것 같습니다.
피사계 심도(被寫界 深度, 영어: Depth of field, DOF)는 사진술에서 한 사진의 초점이 맞은것으로 인식되는 범위를 말합니다. 입체적인 사물이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카메라의 필름이나 센서라는 한 단면에 비쳐질 때 정확히 초점이 맞는 거리는 한 곳이되고 그 앞과 뒤는 초점면을 중심으로 서서히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충분히 초점이 맞은것으로 인식되는 범위의 한계를 피사계 심도라 합니다.
입체적인 사물을 찍는 사진에서 피사계 심도는 여러 요인에 의하여 항상 나타나는데 촬상면의 크기, 렌즈의 초점 거리,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거리, 조리개 개방 정도(F 값) 등에 의하여 복합적으로 결정됩니다. 촬상면의 크기란 필름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CCD, CMOS 센서와 같이 사진기의 집광부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소자의 면적을 말합니다.
착란원(circle of confusion )이란 말도 기억을 해 두기로 합시다.
모든 렌즈에서 초점은 특정한 거리에서만 나타나 선명한 상을 만들어 줍니다. 그러나 입체적인 물체를 찍다 보니 초점면에서 떨어져 있는 물체에는 초점과의 거리에 따라서 물체가 특정한 무늬 모양으로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착란원(circle of confusion ) 이라 합니다.
이 착란원의 크기는 곧 물체의 윤곽선의 해상도에 큰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때 착란원이 너무 커져서 물체의 윤곽을 뚜렷히 인식할 수 없어지는 범위까지가 피사계 심도를 재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 카메라에 따라서 조금씩 그 크기가 다르게 됩니다.
렌즈의 F 값은 렌즈의 조리개 크기를 말합니다.
렌즈의 초점거리는 렌즈의 화각을 말합니다.
피사체와의 거리는 피사체와 카메라와의 거리를 말합니다.
도표 1
도표 1 에서 보시듯이 같은 촬영 환경에서 렌즈의 F값이 작아지면 (F1:1.4) 피사계 심도는 얕아지며, F값이 커지면 (F1:16) 피사계 심도가 깊어집니다. 보통 풍경사진이나 매크로 촬영과 같이 화각에 어느 정도 제한이 있는 경우 피사계 심도는 F값을 통하여 조정하게 됩니다.
같은 촬영 환경에서 렌즈의 초점 거리가 멀어지면 (200mm 망원 렌즈) 피사계 심도는 얕아지며, 초점 거리가 가까워지면 (28mm 광각 렌즈) 피사계 심도가 깊어집니다
같은 촬영 환경에서 촬영면 크기, 렌즈의 초점거리, 렌즈의 조리개 값이 동일할 때,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심도구간이 좁아지고(얕아지고)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심도구간이 넓어지게(깊어지게)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심도가 얕은 '아웃포커스(out of focus)'를 구사하는 사진에서는 같은 초점거리와 조리개 값을 유지하면서 피사체와의 거리와 배경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도 합니다.
간단히 정리를 하면 아래의 3 가지 조건이 어우러져서 결과적인 DOF ( 피시계 심도 ) 에 영향을 줍니다
1. 조리개 F1.4 ----- F 16 = 심도 얕고 ------심도 깊고
2. 렌즈 초점거리 28mm ---- 200mm = 심도 깊고 -----심도 얕고
3. 피사체와 카메라 간의 거리 가까운거리(접사) --먼거리 = 심도 얕고 --심도깊고
이 외에 또 알아야 할 것에 과초점거리라는 것이 있습니다.
어디에 초점을 맞추면 사진의 앞과 뒤가 다 선명하게 나올 수 있는가를 계산하는 방법인데…. 다음 주에 이어지게 됩니다.
심도 깊은 사진
심도 얕은 사진
'사진 > 사진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 아웃 포커싱? 배경흐림? 선별초점? 보케? (0) | 2017.11.10 |
---|---|
42 심도를 심도있게 드려다 보자- 2 Hyper focal Distance-과초점거리 (0) | 2017.11.10 |
40 가을을 찍자 (0) | 2017.11.10 |
39 Flash Photography 2 어떻게 발광하는가? (0) | 2017.11.10 |
38 Flash Photography –Flash 발달사 (0) | 2017.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