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매크로 (Macro) 렌즈
매크로렌즈로 잡은 영상 일반적인 렌즈는 무한 원을 촬영할 때 수차가 최소가 되도록 설계를 합니다. 다시 말하면 렌즈에 입사하는 빛을 평행 광선의 모임이라고 가정하고 렌즈를 설계하는데, 이러한 가정만으로는 촬영 조건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렌즈의 초점거리의 50배에 해당하는 거리를 기준으로 설계(50mm 렌즈의 경우에는 2.5미터)하기도 합니다. *근거리 접근 시 왜곡을 줄이도록 근거리 보정 광학구조로 설계가 되었습니다. 매크로 렌즈는 표준 계열(초점거리 50mm 전후)의 렌즈가 많으나 가까이 접근하기 힘든 피사체와의 거리를 감안하여 100mm, 200mm 급의 렌즈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요즈음은 70-180mm의 줌 매크로 렌즈도 등장하여 그 편리성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2 반사 망원 (Mirror) 렌즈
반사망원 렌즈 렌즈의 초점거리가 길어지면 일반적인 굴절식 렌즈에서는 아무리 텔레타입(Tele-Type)으로 제작한다 하더라도 렌즈의 길이가 길어지게 마련입니다.
3 PC (Perspective Control) 렌즈
PC 렌즈로 찍은 사진
니콘의 35mm PC렌즈가 최초의 모델이며 SLR 카메라에서 뷰 카메라의 렌즈 면을 수평,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얻을 수 있는 상의 쉬프트(Shift) 현상과 동일한 원리로 설계되었습니다. 이것은 필름 면을 피사체와 평행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렌즈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면 상의 원근감(사실은 원근감과는 다른 수렴 현상임)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로 필름 면에 상이 맺는 위치만 이동하는 현상인데, 이 현상을 이용하면 높은 건물도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현상이 없이 촬영할 수 있습니다. 이 종류의 렌즈 중 일부는 틸트(Tilt)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는데 이 기능은 피사계심도를 조절할 때 사용됩니다. 필름카메라일 때에는 많이 사용하였으나 디지털이 된 요즈음에는 후보정으로 많이 보정을 하는 편입니다.
4 소프트 포커스 (Soft Focus) 렌즈 일반 렌즈는 모든 범위에서 가능하면 선명한 상을 맺도록 설계하고 있는데 이 소프트 포커스 렌즈(연초점 렌즈)는 구면 수차나 색 수차를 보정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흐릿한 영상이 생기도록 설계한 렌즈입니다.
5 VFC (Variable Focal-Plane Curvature) 렌즈 렌즈의 일부를 이동시켜 초점 면을 광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렌즈로 상면 만곡 수차를 변화시킬 수 있는 렌즈입니다.
6 텔레콘버터 (Tele Converter) 이것은 정확하게는 렌즈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만 렌즈와 카메라의 몸체 사이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렌즈의 초점거리를 1.4배 또는 2배로 늘려주는 렌즈로서 이 렌즈만으로는 초점이 맺혀지지 않습니다. 우리들이 신문이나 잡지, 혹은 TV에서 가끔 접하는 좀 특수하게 보이는 장면들은 거의가 이러한 특수렌즈를 사용하였던지 아니면 포토샾을 사용하여 보정한 영상일 것입니다. 사진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이야 투자를 할 수가 있겠지만 돈을 쓰면서 사진을 찍는 아마추어들에게는 쉽지가 않은 이야기일 것입니다. 우리들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장비들을 사용하여 그 한도 안에서 최선의 영상을 만들어 내면 그것이 기쁨일 것입니다. |
'사진 > 한인뉴스-사진강좌 천천히 열리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0회: 구도(構圖)를 위한 구도(求道) (2) (0) | 2012.12.28 |
---|---|
49회 구도(構圖)를 위한 구도(求道)(1) (0) | 2012.12.28 |
47회 렌즈의 요술(3): 초점거리와 화각 (0) | 2012.11.19 |
46회 렌즈의 요술(2) - 초점거리 기준으로 붙여진 이름 (0) | 2012.11.12 |
제45회 렌즈의 요술(1) - 밝은 렌즈, 어두운 렌즈 (0) | 2012.11.04 |